발생일: 2012.10.31 문제: 지난 주부터 파이썬 스터디를 하고 있는데,오늘은 아주 간단한 파일 처리 코드를 익혔다. 파일을 열 때 파일 모드를 파라미터로 넣는데,파일 모드는 정말 봐도 까먹고 봐도 까먹고 한다. 조금 헷갈리는 것도 있어서, 이번에 정확하게 정리해두려고 한다. 해결책: 파이썬의 내장 opne() 함수의 파일 오픈 모드는, C의 fopen()과 정확하게 일치한다.파일 모드에 관한 정의는 BSD fopen 매뉴얼 페이지에 정확하게 설명되어 있다. 각 파일 모드가 어떤 작업을 하는지, 파일을 열었을 때 커서가 어디에 있는지정확하게 알아두자. ``r'' Open text file for reading. The stream is positioned at the beginning of the ..
발생일: 2011.09.18 문제: 유닉스에서 파일 권한(permission 또는 mode)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 해결책: 일단 현재 파일의 상태가 어떤 지 알아보기 위해 조회해본다. ls -l ("Long format" 으로 조회) 목록 중 가장 왼쪽의 컬럼이 현재 파일에 대한 권한(file mode)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. -rwxr-xr-- 위 문자열은 각각 아래를 의미한다. - rwx rwx rwx 파일타입 user 권한 group 권한 other 권한 파일 타입(file type)에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. (여기서는 - 와 d 만 알고 있어도 충분하다.) - : plain file. 일반 파일. 실행 파일도 포함한다. d : directory. 디렉토리 형식. l : link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