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생일: 2013.10.04 문제: 어디서 보고 읽게 된 건진 잘 기억나지 않지만,노드에서 자식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`spawn`과 `exec` 메서드의 차이를 잘 정리해둔 포스트가 있었다. 포스트를 읽으면서 메모해둔 게 있어 옮겨둔다. 해결책: http://www.hacksparrow.com/difference-between-spawn-and-exec-of-node-js-child_process.html `spawn`과 `exec`가 하는 작업은 동일하지만, `spawn`은 스트림(stream)을 리턴하고, `exec`는 버퍼(buffer)를 리턴한다. `spawn`은 `stdout`과 `stderr` 스트림을 포함한 객체를 리턴한다.자식 프로세스의 표준 출력을 `stdout` 객체로 받아 처리할 수 ..
발생일: 2013.03.09 문제: 작은 node 앱에 Express 를 사용하고 있다.기본 HTTP 모듈과 Express 의 역할에 대해선 잘 알겠는데,Connect 에 대해선 명확히 감이 잡히지 않는다. Connect 는 정확히 뭐고, 세 모듈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? 해결책: 간략한 결론 먼저.노드는 기본적으로 HTTP 모듈을 가지고 있고,Connect 는 HTTP 모듈에 여러 플러그인(정적 파일, 로깅, 캐싱, 압축 등)을 추가할 수 있는 미들웨어 프레임워크다.Express 는 Connect 를 내장하고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. 좀더 자세히,Connect 위주로 찬찬히 살펴보면, 다음과 같다. node.js 에서는 기본적으로 HTTP 모듈을 내장하고 있고,아래와 같이 createServe..
발생일: 2012.01.15 문제: 팀에서 노드(Node.js) 스터디를 하고 있다. 노드가 처음은 아니고, 얼마 전 노드로 작은 모듈을 만들어보기도 했지만,책을 읽으니 확실히 좋다. :) 지금은 '노드제이에스 프로그래밍'이란 책으로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는데,글도 매끄럽고 쉽게 잘 읽혀져 좋다. http://book.naver.com/bookdb/book_detail.nhn?bid=6818977 책의 1장에 노드의 탄생 배경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,꼭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메모해둔다. (노드 예찬론자였던 양형이 생각난다. ㅎㅎ) 해결책: var result = db.query('SELECT * FROM table');// result를 사용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나 플랫폼에서는 Blocking I/O ..
발생일: 2012.10.17 문제: 조만간 진행할 미니 프로젝트에서 node.js를 사용하기로 했다. node.js는 어깨 너머로 보기만 했지, 실제로 사용해본 적은 없었다. 이참에 연습도 할 겸,얼마 전 만든 라이브러리의 새 버전 배포 알람 메일링 배치 파일을 node.js 로 만들어봤다. 아래는 작업하면서 메모해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. 해결책: 시작하기, 완전 초보 가이드 http://nodeguide.com/beginner.html 오래된 버전이지만,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명료하게 설명한다. 유용한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가져다 쓰려면? https://npmjs.org/ Node Package Manager에서 가져온다. npm 간단 사용법 http://howtonode.org/introduction..
발생일: 2011.10.25 문제: 엘리먼트(element)와 노드(node)의 정확한 차이가 뭘까? 해결책: W3C의 DOM(Document Object Model) 스펙에 따르면, 노드 인터페이스(Node Interface)는 DOM의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타입이다. 노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여러 오브젝트가 있으며, 노드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. 예) 엘리먼트 노드, 텍스트 노드, 속성 노드 등등 정리: 노드는 엘리먼트의 상위 개념이다. * 참고: - 노드 인터페이스와 타입별 nodeName과 nodeValue의 리턴값을 확인하고자 한다면: Interface Node Spec - DOM Structure Model에 대한 상세 스펙을 보고자 한다면: DOM Structure Model Spec ..